콘텐츠로 건너뛰기

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무설치 및 설치 사이트

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(게임을 하다 보면) 종종 인터넷 속도 측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. 
내 인터넷이 지금 정상 속도인가, 왜 총이 안맞지, 왜 컨트롤이 제대로 안되지 하면서 말이다.

먼저 가장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, 인터넷 속도 측정 무설치형 사이트

1. Fast.com 

https://fast.com/ko

https://fast.com/ko
접속하자 말자 인터넷 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한다.
상세정보 보기 클릭시 나오는 핑(지연시간), 업로드

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로 접속하면 바로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한다.
측정이 완료된 뒤 상세 정보 보기를 누르면 핑, 업로드 속도도 확인 가능하다. 
가장 빠르고 편리해서 많이 사용하긴 하는데 업로드 속도가 오락가락한다. 
그래도 사용하기 편리하니까 때때로 다운로드 속도 제대로 나오나 간단히 확인하고 싶을 땐 바로 fast.com 치면 된다.

2. Speedtest.net 

https://www.speedtest.net/

접속 후 GO 버튼만 누르자
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 값

Ookla라는 곳에서 서비스 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로 접속 후 GO 버튼만 누르면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한다.

여기가 좀 마음에 드는건 서버를 여러 개 선택할 수 있다. 하지만 대부분 국내에선 자동으로 잡히는 Kdatacenter 서버를 사용하면 된다. 

3. CloudFlare

https://speed.cloudflare.com/

꽤나 전문적인 사이트로 여러가지 상황에 따른 값을 확인 할 수 있다

CDN 업체 DNS 1.1.1.1로 유명한 CloudFlare에서 만든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다.

무설치형 답게 접속하면 바로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해버리고 전문 업체에서 만들어서 그런지
1메가 10메가 50메가 등 여러 상황에 대한 속도 값도 확인할 수 있다. 

정보가 많아서 좋긴 하지만 나 같이 업로드 다운로드 그리고 속도만 잘 보이면 돼서 본인은 잘 사용 안 함

그리고 대망의 인터넷 속도 측정 설치형 사이트 (국내에서 유명한.. 하지만 본인은 설치 후 바로 삭제함)

NIA 인터넷 품질측정 

https://speed.nia.or.kr/index.asp

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제공하고 국내에서 오랜 시간 많이 사용 돼 와서 그런지 아직까지 설치형임에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더라.  사이트 접속 후 인터넷 속도 누르면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한다. 

인터넷 속도 측정을 위해선 프로그램 설치가 필수다
NIA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

다운로드 속도나 업로드 속도나 모두 잘 나온다. 국내 서버니까 당연한 결과다.

여기서 업로드 다운로드 속도가 사용하는 서비스 평균값 보다 낮게 나오거나 핑이 튄다면 회선이나 공유기, 컴퓨터 등 어딘가에 문제가 있는 거다. 

아무튼 사용하기엔 편리하지만 인터넷 속도 측정을 위해서 무언가 컴퓨터에 깔아야 되는 게 가장 싫었다.
(프로그램 제공은 감사하지만..) 

또 무엇보다 사용하지 않음에도 아래 이미지처럼 백그라운드에서 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다. 
심지어 윈도우 시작시 자동 실행 되기까지한다. (너무한거 아니냐고)

백그라운드에 돌아가고 있는 인터넷 속도 측정 NIA 프로그램

그래서 사용 후에는 지워주자.

윈도우 키 > 제어판 입력 > 프로그램 추가/삭제 > NIASpeedMeter 을 삭제해 주자. 

제어판에서 NIASpeedMeter 삭제

이렇게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에 대해 설치형과 무설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본인은 무설치 사이트 fast.com과 서버를 변경 가능한 speedtest.net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.

뭐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것도 있지만 로그인을 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다. 위 세가지 사이트에서만 정상적인 속도 나오면 솔직히 크게 신경쓸 필요 없다.

빡겜러들은 인터넷 속도 측정을 종종 해서 핑, 로스값이 없는지 잘 확인하자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